오늘, 생각하기
[+25] 그 쌤의 이중생활

대니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양주백석초등학교 정도행 교사

바야흐로 영상의 시대다. 이제는 많은 사람이 영상으로 일상을 기록하고 상상을 표현한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려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막막할 때가 많다. 정도행 교사의 유튜브 채널 ‘상상대니-대니의 디자인 작업실’은 갓 영상 제작을 시작한 이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담긴 참고서다.
  • 글. 정라희
  • 사진. 김도형

Teacher & media artist
재미를 열정으로 승화하다

한 사람이 단단한 벽을 통과해 교실 안으로 들어간다. 빈 박스 속으로 사람이 사라졌다가 갑자기 등장하기도 한다. 정도행 교사의 유튜브 채널을 소개하는 영상에 담긴 편집·제작 기법들이다. 실제로 그의 영상 제작 실력은 취미를 넘어선 전문가 수준이다. 퇴근 후 다른 여가에 쏟을 시간을 오롯이 영상 공부에만 매달려온 결과다.
대학 시절, 캠퍼스를 지나다 우연히 발견한 포스터 한 장이 그를 영상의 세계로 입문하게 했다. 학교 방송국에서 뮤직비디오 페스티벌을 주최한다는 소식. 이전까지 단 한 번도 영상을 찍어본 일이 없었지만 어쩐지 마음속 상상을 글이 아닌 이미지로 표현하는 일이 꽤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처음 도전한 대회에서 2등에 오른 정도행 교사. 그리고 이듬해부터는 잇달아 대상의 영광을 안았다.
“재미도 있었지만 정말 신이 났어요. 덕분에 꾸준히 영상을 만들 추진력을 얻었습니다. 그때는 유튜브처럼 영상 제작을 혼자 공부할 수 있는 경로가 없었어요. 큰돈을 들여 방송사 아카데미에 등록해 관련 내용을 배워야 했지요.”
방송 3사 아카데미를 다니며 모션그래픽과 사진, 디지털 편집 기술 등을 두루 섭렵했다. 영상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 잘하고 싶은 마음이 솟았다. 한창 자신감이 높아졌을 때, 손수 포트폴리오를 엮어 영상 관련 대학원에 원서를 냈다. 하지만 돌아온 소식은 낙방. 당시 그와 함께 지원한 이들은 영상 제작 현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었다. 면접관은 꾸준히 영상을 제작해온 그의 노력을 칭찬했지만, ‘결국 취미가 아니냐’는 말로 그를 돌려보냈다. 그는 포기하고 싶지 않았다. 사이버대학에 입학해 미디어디자인을 전공하고, 계속해서 영상 작업을 이어 나갔다. 그렇게 8년을 더 공부했지만, 좀 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하고 싶은 열망이 변함없이 솟아났다. 붙을 때까지 계속 도전한다는 마음으로 임한 대학원 면접에서도 그 마음이 전달되었는지 결국 합격증을 손에 들었다.
그 사이 그는 뮤직비디오나 단편영화를 비롯해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 같은 디지털 이미지 영상 작품 등을 여럿 제작했다. 올해는 그동안 작업해온 다양한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할 계획이다. 2020년 한 해에만 다섯 차례 상영회가 예정되어 있다.

정도행 교사는 “앞으로는 학생들도 미디어의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디어로 지식을 얻는 것이 당연한 지금,
미디어를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활용할 방향을 교육적으로
이끌어주어야 한다는 것. 그는 교과서에 갇힌 교육이 아닌 상상하는 바를
폭넓게 표현할 수 있는 교육을 꿈꾼다.
영상 제작 노하우를 아낌없이 알려드려요

미디어 아티스트로 작업을 이어가던 그는 요즘 유튜브 채널에 영상 제작 노하우를 공개 중이다. 애초에 유튜브를 개설한 이유는 효과적으로 작업물을 관리하기 위해서였다. 일종의 포트폴리오였던 셈. 하지만 현재 그의 채널은 영상 제작을 갓 시작한 이들의 입문서가 되었다. 영상 회전이나 화면 전환 같은 영상 편집 기술 설명은 물론, 영상 편집이 가능한 노트북 사양 안내까지 초보자들이 궁금해하는 다양한 정보를 담았다.
“수업 외에도 교사들이 신경 써야 할 업무가 광범위하잖아요. 어떤 학교에서는 입학식이나 졸업식 같은 행사 영상 제작을 신규 교사들이 맡기도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분들을 위해서 제 블로그에 인트로(Intro, 도입부)와 아웃트로(Outro, 맺음부)에 해당하는 영상 소스를 공유하겠다고 올렸어요. 이런 소스가 있으면 중간에 사진만 끼워 넣으면 좀 더 쉽게 행사 영상을 완성할 수 있거든요. 예상보다 댓글이 상당히 많이 달렸는데, 그만큼 간절한 분이 많은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제가 영상작업을 시작한 지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는데, 이제는 제가 아는 것을 나눠야 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난해에는 영상 제작을 공부하는 교사들의 연구회인 ‘상상 그리다필름’을 만들었다. 영상 제작에 관심은 있지만 방법을 몰라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자리다. 현재 7명의 선생님과 함께 많은 고민을 나누고 있는데 대다수 회원이 영상 초심자인 까닭에 회장인 그가 기획과 강의를 주로 하지만, 연구회 운영이나 프로젝트 구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회원들이 힘을 보태고 있다. 연구회 개설 첫해에는 영상 제작 역량 향상에 집중했고, 2년차를 맞은 올해부터는 공동으로 영상 제작에 나서고자 한다.
“영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머릿속에 이미 그려 놓은 이미지가 있거든요. 저는 ‘상상그리다필름’ 회원들이 궁극적으로 영상에 자신만의 철학을 담아내는 아티스트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미디어 시대와 동행하는 법

좋아하는 일에 열정적으로 매달리는 그를 보면서 흥미와 재능을 스스로 발견하는 아이들도 종종 만난다. 신규 교사 시절에 담임을 맡았던 학생이 영상 전공으로 대학에 진학하기도 했다. ‘선생님 덕분에 좋아하는 진로를 찾았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보람도 컸다. 영상을 공부하는 일은 학교 업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각자 맡은 업무를 전달할 때 영상을 매개체로 활용할 수 있는 까닭이다.
“제가 안전 담당 업무를 맡았다면, 안전 관련 영상을 제가 직접 만들어서 보여줄 수가 있어요. 미디어와 연계한 수업도 가능하고요.”
사실 얼마 전만 해도 교사들의 영상 제작 역량은 학교 운영에 부수적인 도움을 주는 정도였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지면서 영상 제작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영상에 관해서라면 노하우가 큰 그도 전례 없는 온라인 개학 앞에서는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고.
온라인 수업 초기에는 학교 업무를 마친 후 잠들기 전까지 수업 준비에만 매달렸다. 지금도 일요일마다 온라인 수업을 먼저 열어본 후 테스트하는 작업을 거친다. 하지만 모든 교사가 그처럼 영상 제작의 달인이 될 필요는 없다. 수업에 관해서라면 교사들은 이미 교과의 최고 전문가들.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충분히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편집이 어려우면 타이밍을 맞춰 녹화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키네마스터(KineMaster)’ 같은 무료 편집 프로그램도 있고요. 삼각대가 없다면 책상 위에 의자를 올려놓고 교과서를 쌓은 후에 스마트폰을 기대어 놓은 뒤 촬영할 수도 있어요. 알고 보면 너무나 간단한 방법들인데, 알기 전에는 몰라서 시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 촬영 방법도 유튜브에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도행 교사는 “앞으로는 학생들도 미디어의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디어로 지식을 얻는 것이 당연한 지금, 미디어를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활용할 방향을 교육적으로 이끌어주어야 한다는 것. 그는 교과서에 갇힌 교육이 아닌 상상하는 바를 폭넓게 표현할 수 있는 교육을 꿈꾼다.
“당연히 교과서는 중요합니다. 하지만 거기 머무르지 않고 학생들의 생각을 확장하는 유무형의 공간이 다양해졌으면 해요. 저 역시 하나의 통로가 되고 싶습니다.”

‘그 쌤의 이중생활’은 독자 여러분이 주인공입니다

25~35세 독자 여러분 중 열정 넘치는 이중생활로 세상과 활발히 소통하는 분들의 신청을 기다립니다. 선생님이 아니어도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혹은 추천해 주셔도 좋습니다.「The-K 매거진」이 지면에 담아, 많은 교직원분들과 공유하여 학교와 교실의 담장을 넘는 빛나는 꿈과 열정이 더 높은 곳에 닿을 수 있도록 응원하겠습니다.

「The–K 매거진」 편집실 이메일 thekmagazine@ktcu.or.kr로 연락 바랍니다.

services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