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원은 ‘나쁜 아이들’이 가는 곳이라고 여겼는데, 지내면서 겪어 보니 ‘가난하고 아픈 아이들’이 있는 곳이었다
사람과 세상을 들여다보는 정신과 의사
김현수 교수는 사람의 마음을 살피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다.
지치고 힘든 사람의 마음 속은 물론 사람들을 둘러싼 세상 속까지 들여다보려 노력한다.
덕분에 그의 일주일은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게 돌아간다.
병원 임상현장에서 환자를 만나고,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장으로서 자살예방정책 관련 일도 한다.
여기에 더해 대안학교까지 세워 20년 가까이 운영해오고 있다.
이토록 다양한 일에 몸담게 된 것은 청소년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오랜 관심의 시작은 1992년에 공중보건의로 근무할 때였다.
그가 발령받은 곳은 한 소년원이었다.
이전까지 소년원은 ‘나쁜 아이들’이 가는 곳이라고 여겼는데, 지내면서 겪어 보니 ‘가난하고 아픈 아이들’이 있는 곳이었다.
“지적 장애 혹은 ADHD인 아이들이나 가정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이 소년원에 많이 있었어요.
제때 사회적 지원을 받았다면 소년원까지 오지 않았을 아이들이었습니다.
그곳에 있을 때 학교에 가서 범행하는 아이들보다 학교에 가지 않아서 범행하는 아이들이 훨씬 많다는 걸 알게 되었죠.”
그 시절 경험이 진로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친 것일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되고 보니 그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 의사로서 도전해볼 만한 일이 많아졌다.
첫 단추는 ‘도시 속 작은 학교’ 운동이었다.
이는 공교육에서 중도탈락한 아이들이 다닐 수 있도록 작은 학교를 도시 곳곳에 만들자는 취지로 진행된 사회운동이다.
하지만 이곳에 모인 아이들도 다양한 정서적 문제를 겪고 있었다.
이전과 다른 시스템이 필요했다.
그렇게 치유적 대안학교 ‘성장학교 별’을 열었다.
스스로 결정하며 치유되고, 성장하는 아이들
성장학교 별에 오는 이유는 다양하다.
제도권 교육과 맞지 않았던 아이, 따돌림으로 마음에 상처를 입고 힘든 시간을 보냈던 아이는 물론 ADHD나 아스퍼거 증후군, 고기능 자폐 등을 가진 아이들도 이곳에 온다.
‘치유적 대안학교’로 소개되지만 학교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교육의 기준은 ‘협력’과 ‘자발성’이다.
“성장학교 별에서는 학교의 제도를 구성원들이 함께 만들고 결정합니다.
커리큘럼도 ‘3분의 1 법칙’을 적용해서 학기마다 학생·학부모·학교가 각각 의견을 내서 만들어요.”
성장학교 별에서는 교사들의 공약을 보고 담임 선생님을 선택하며, 졸업 역시 학생들이 원하는 때에 할 수 있다.
학교에 다니는 모든 과정에 대해 학생들이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 것이다.
사실 이제까지 한국의 교육은 효율성을 이유로 정해 놓은 방식을 따르게 하는 일이 많았다.
그 과정에서 경계선 장애가 있거나 사회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은 더 쉽게 소외되었다.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다고 말할 수 있고, 하기 싫은 일은 거부할 수 있음을 경험하고, 그 과정을 공유하면서 아이들은 서서히 치유되어 간다.
대화를 통해 이루어가는 일이기에 서로의 권리를 침해하는 일은 최소화할 수 있다.
“빼앗긴 삶의 주권을 되찾는 일이라고 할까요? 자기 삶의 문제로부터 소외된 아이들이 삶의 문제를 다시 자기 것으로 만들려면 결정권을 사용해보는 경험이 필요합니다.
성장학교 별에 오기 전의 아이들은 자기 결정에서 소외된 경험을 압도적으로 많이 했거든요.
자기 의사의 표현, 자기 결정의 사용은 심리적 안정과 자기주장성, 참된 자신의 회복 등 많은 측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성장학교 별에서는 모두가 변한다.
학교가 자유롭고,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에 책임을 져야 하는 까닭이다.
그뿐만 아니라 점수도, 등수도 없다.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는 경험을 통해 유명한 예술학교에 진학하는 아이들도 생겼다.
개인적인 상담이나 치료 대신 학교의 분위기와 제도, 시스템으로 일군 결과다.